크리에이티브2011. 5. 22. 17:35
 최근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의 출현으로 전자기기 제조사를 중심으로 "스마트"를 사회의 화두로 던지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2월초 How To Live Smart 캠페인을 중심으로 스마트라는 단어 선점에 나서고 있다. 거기에 최근에는 김연아를 내세운 하우젠 에어컨 광고 속에서 Smart와 Stupid를 비교하며 삼성전자의 브랜드 이미지를 스마트로 굳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우연인지 필연인지는 모르겠으나 Stupid와 Smart의 비교는 선례가 존재한다. 그것도 삼성전자와는 완전히 다른 카테고리의 브랜드가 만든 캠페인 말이다. 

 그 선례는 바로 Diesel의 Be Stupid 캠페인. 그들도 작년 한 해동안 자신들은 Smart가 되느니 차라리 Stupid가 되겠다고 외친 바 있다. 똑같은 Stupid vs. Smart의 프레임이지만 두 회사는 정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니 참 재미있다

'스마트에게는 뇌가, 스투피드에게는 X알이 있다'라는 도발적인 카피. 스마트를 '지능' 혹은 '머리'에, 스투피드를 '용기'에 비유했다.

 우선 Diesel의 Be Stupid를 보자. 저번에도 Katy Perry의 Teenage Dream 뮤직비디오 관련 포스트(바로가기)에서 언급했던 것 처럼 이 캠페인은 사람들에게 아무 의미없이 Smart해질 바에는 너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Stupid가 되라고 말한다. 재치있고 감각적인 섹스어필의 이미지와 함께. Stupid라는 단어는 분명 "멍청이, 어리석은" 이라는 사전적 의미로 해석되지만 Diesel은 자신의 브랜드의 이미지를 Stupid라는 단어에 투영시켜 "반항", "저항", "개성" 등, 타겟인 젊은이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새로운 의미와 메시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여담이지만 프랑스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에 의하면, Stupid는 라틴어 Stupidus 에서 온 말로 <놀라운 일을 당해서 어리둥절하다>는 뜻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스투피드란 모든 것에 경의로움을 느끼고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란 뜻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고 한다.)

삼성의 하우젠 캠페인은 두 단어를 사전적인 의미로 비교했다. 하지만 그 안에 이야기와 맥락이 없기 때문에 마음에 와닿지 않는다.


 반면에 삼성 하우젠 Don't Worry. Be Smart. 캠페인을 보자. 기존의 에어컨 제품들을 Stupid, 새로 나온 하우젠 에어컨을 Smart로 표현하고 있다. 모바일과 TV도 모자라서 에어컨 제품에 까지 Smart라는 단어가 붙은 것도 웃기지만, Smart라는 단어에서 브랜드가 가지는 새로운 의미를 뽑아내기 보다는 사전적인 의미를 단순히 갖다붙인 것에 불과하다. 과연 전자제품 카테고리에서 Smart라는 단어가 얼마나 남용되어서 그 단물이 빠져야 이러한 모습들이 사라질 수 있을까. 물론 Diesel과 삼성전자는 애초에 타겟이 다르고 만드는 제품의 카테고리도 다르니 직접적으로 어떤 것이 더 낫다라고 말하기는 힘들 수도 있다. 그러나 광고 캠페인 속 키워드에서 브랜드의 스토리와 메시지를 뽑아내는 측면에서 봤을때, 나는 Diesel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분명 이번 하우젠의 광고를 보고 나서 아래의 Diesel의 Be Stupid. 캠페인을 본다면, 두 회사가 브랜드를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명확하게 비교될 수 있을 것 같다. 

SMART HAS THE PLANS, STUPID HAS THE STORIES.
(스마트에게는 계획이 있지만, 스투피드에게는 이야기가 있다.)

 
Posted by nonamenullnil
크리에이티브2011. 4. 22. 22:31
 현재 미국 팝씬의 최고 유망주이자 블루칩인 Katy Perry. 최근 그녀는 그녀의 앨범 Teenage Dream에서 무려 4곡의 빌보드 싱글차트 1위곡이 배출해서 사람들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그 곡 중 하나가 바로 앨범과 동명 타이틀 싱글인 Teenage Dream이다. 굉장히 특이한 것이 그녀는 목회자의 딸로 태어나 자랐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현재 그녀가 하는 음악은 지구상에서 가장 섹시하고 유쾌하다는 점이다. 강렬한 락적인 기타리프를 사용하고, 가사와 뮤직비디오에는 성적인 표현과 은유가 가득 들어있다. Teenage Dream의 뮤직비디오도 마찬가지인데 이 뮤직비디오에서 최고의 PPL 광고를 발견했다.
 

같은 앨범의 1위 싱글 California Gurls의 촬영 장면. 이 이미지만 봐도 섹스와 유머의 절묘한 조화와 유쾌한 은유가 넘친다.

작년 최고의 화제를 불렀던 디젤의 Be Stupid. 캠페인 중 하나. Katy Perry의 이미지와 완벽하게 들어맞는다.

 이 뮤직비디오의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 10대 소녀(그녀는 물론 Katy Perry이다)가 자신이 좋아하는 남자친구와 함께 일탈을 떠난다는 내용이다. 음악의 분위기와 딱 맞게 뮤직비디오도 전체적으로 에너지가 넘치고 역시 섹슈얼리티가 등장한다. 내가 주목했던 PPL은 두 남녀 주인공의 모텔씬이다. 두 주인공은 내내 디젤(Diesel)사의 청바지를 입고 있는데, 모텔씬에서 사랑을 나누는 과정에 Katy Perry가 입은 청바지의 디젤의 로고가 클로즈업 된다. 평소 디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바로 섹슈얼리티와 유머가 아니던가. 작년 Be Stupid 캠페인으로 최고의 한해를 보냈던 디젤은 역시 자신들이 어떤 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는 듯 하다. 뮤직비디오 속 Katy Perry가 디젤 청바지를 벗는 순간의 디젤 로고의 노출은 그녀가 평소 가지고 있던 섹시함과 유쾌한 이미지와 디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절묘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순간이다. 게다가 노래의 제목까지도 Teenage Dream이라니!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PPL과 셀렙을 활용한 광고, 마케팅이 매우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이렇게 완벽한 것을 본 적이 없다.

모텔씬에서 Katy Perry가 디젤 청바지를 벗는 장면. 디젤의 로고가 선명하다.

 앞으로는 우리나라 기업들도 브랜드와 제품의 마케팅을 위해 PPL을 활용 할 경우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완벽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콘텐츠와 도구들을 활용하기를 바란다. 드라마 속 여주인공이 7인치 태블릿 PC를 귀에 대고 전화를 거는 짓이나 시키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말이다. PPL은 단순히 콘텐츠 속에 제품과 브랜드를 노출시키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니까. 그리고 PPL이야 말로 브랜드와 매체가 될 콘텐츠 사이의 맥락(context)적 조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니까. 어쩄든 Teenage Dream 뮤직비디오를 처음 봤던 그 순간 내 망막에 인쇄되었던 디젤의 로고는 평생 잊을 수 없을 듯 하다.
Posted by nonamenullnil
크리에이티브2010. 8. 2. 10:21
세상에 바보같은 일은 너무나도 많다. 지겨운 일상을, 그리고 고정관념을 깨는 바보스러움을 추구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어떤 한 분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SNS라는 배를 타고 모든 분야를 항해하고 있다. 이탈리아 진웨어 브랜드인 디젤(Diesel)은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그 바보스러움을 잘 이해하고 있는 듯 하다. 

패션(fashion)산업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람들에게 이미지와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주입한다. 특히 요즘에는 SNS와 같은 새로운 매체를 통해 젊은이들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어쩌면 패션의 가장 큰 적은 바로 SNS일지도 모른다. 물론 웹에서 모바일로 넘어오면서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하지만, SNS를 사용하기 위해서 데스크탑 앞에 앉아있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패션은 사람들이 자꾸 집밖으로 나가야지만 그들에게 여러가지 패션아이템들을 제안할 수 있는 것 아닌가. 


그래서 디젤은 Analog is Stupid 캠페인을 통해 그들의 타겟층을 집 밖으로, 오프라인으로 끌어내고자 하였다. Facepark라는 Facebook을 패러디한 오프라인 SNS를 만들고 6월 20일 독일 베를린의 공원에 모여있는 미리 신청한 젊은이들에게 골판지로 된 Facepark 개인 계정(?)을 하나씩 나누어 주었다. 그 종이 박스를 가지고 공원을 돌아다니면서 함께 있는 사람들과 상대방의 박스에 코멘트를 달고, Like 스티커를 붙이고, 친구도 맺고, Mafia Wars나 Farmville같은 게임도 할 수 있게 하였다. 마치 실제 Facebook처럼 말이다. 그들이 온라인에서 하던 놀이가 오프라인에서 현실이 된 것이다. 이 캠페인은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도 쿨한것이라는 자신들의 메시지를 오프라인 소셜게임을 통해서 타겟에게 적절하게 전달한 완벽한 "디지털" 캠페인이다. 기획은 DDB 뒤셀도르프에서 진행하였고 2010 칸국제광고제 그랑프리를 수상하였다.


Facepark 캠페인 동영상
Posted by nonamenulln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