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티브2010. 8. 25. 11:18

영국 아티스트인 Hellicar & Lewis가 런던에서 진행한 소셜보드 프로젝트. 건물의 빈 공간을 활용해서 그 곳에 전광판을 설치하고 사람들이 트위터를 통해 간단한 명령어를 입력하고 그것을 바로 시각화하여 표현해주는 인터랙티브 프로젝트이다. 트위터에서 Triangle, Square, Circle 같은 도형을 나타내는 단어와 more, less, shake 등의 간단한 명령어를 조합하여 입력하고, @thehellowall에 멘션을 보내면 그 결과가 바로 전광판에 시각적으로 구현된다. 일방적 푸쉬(push) 개념의 현재 전광판 광고가 소셜미디어와 결합하면 쌍방향 미디어로의 진화가 충분히 가능해 보인다.


The Hello Wall from wasted spaces on Vimeo.

Posted by nonamenullnil
크리에이티브2010. 8. 2. 10:21
세상에 바보같은 일은 너무나도 많다. 지겨운 일상을, 그리고 고정관념을 깨는 바보스러움을 추구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어떤 한 분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SNS라는 배를 타고 모든 분야를 항해하고 있다. 이탈리아 진웨어 브랜드인 디젤(Diesel)은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그 바보스러움을 잘 이해하고 있는 듯 하다. 

패션(fashion)산업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람들에게 이미지와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주입한다. 특히 요즘에는 SNS와 같은 새로운 매체를 통해 젊은이들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어쩌면 패션의 가장 큰 적은 바로 SNS일지도 모른다. 물론 웹에서 모바일로 넘어오면서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하지만, SNS를 사용하기 위해서 데스크탑 앞에 앉아있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패션은 사람들이 자꾸 집밖으로 나가야지만 그들에게 여러가지 패션아이템들을 제안할 수 있는 것 아닌가. 


그래서 디젤은 Analog is Stupid 캠페인을 통해 그들의 타겟층을 집 밖으로, 오프라인으로 끌어내고자 하였다. Facepark라는 Facebook을 패러디한 오프라인 SNS를 만들고 6월 20일 독일 베를린의 공원에 모여있는 미리 신청한 젊은이들에게 골판지로 된 Facepark 개인 계정(?)을 하나씩 나누어 주었다. 그 종이 박스를 가지고 공원을 돌아다니면서 함께 있는 사람들과 상대방의 박스에 코멘트를 달고, Like 스티커를 붙이고, 친구도 맺고, Mafia Wars나 Farmville같은 게임도 할 수 있게 하였다. 마치 실제 Facebook처럼 말이다. 그들이 온라인에서 하던 놀이가 오프라인에서 현실이 된 것이다. 이 캠페인은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도 쿨한것이라는 자신들의 메시지를 오프라인 소셜게임을 통해서 타겟에게 적절하게 전달한 완벽한 "디지털" 캠페인이다. 기획은 DDB 뒤셀도르프에서 진행하였고 2010 칸국제광고제 그랑프리를 수상하였다.


Facepark 캠페인 동영상
Posted by nonamenullnil
크리에이티브2010. 6. 27. 12:15
폭스바겐 스웨덴에서는 'Rolighesteorin'이라는 온라인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 캠페인에 베이스가 되는 이론은 바로 '재미(Fun)'가 사람들의 사회적인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2010 칸광고제 Cyber 부문에서 수상한 이 캠페인은 여러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다.
 

Pianotrappan 

지하철 출구 계단에 소리가 나는 센서와 건반 모양의 스티커를 부착해서 사람들을 에스컬레이터보다는 계단으로 유도한 것이다. 재미와 즐거움을 주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 해냈다.
 

The World's Deepest Dustbin 

쓰레기통에 센서를 부착해서 쓰레기가 통 안으로 들어가면 계속 아래로 떨어지는 듯한 효과음이 나오게 하였다. 이 재밌는 소리가 학습이 되자마자 쓰레기통 주변에 쓰레기를 주워서 쓰레기통에 넣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까지 생길 정도로 실험의 대상이된 사람들이나 이를 보는 사람들이나 모두 재미있고 의미있는 실험이었다. 

결국 재미라는 요소는 사람들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이 변화를 통해 사회가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것. 이 핵심 메시지를 재밌는 실험과 영상을 통해 잘 전달하고 있다. 기업이 홍보를 위해 단순한 사회적공헌활동(CSR)이나 의미 없는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 보다는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통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이 이 캠페인의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Posted by nonamenullnil